https://docs.python.org/3/tutorial/datastructures.html
5. Data Structures — Python 3.10.4 documentation
5. Data Structures This chapter describes some things you’ve learned about already in more detail, and adds some new things as well. 5.1. More on Lists The list data type has some more methods. Here are all of the methods of list objects: list.append(x)
docs.python.org
리스트는 자료구조이다.
자료구조는 컴퓨터 내에서 자료를 구조화하는 특별한 방식이다.
즉, 자료를 어떻게 보관하고 정리할 것인지를 정의한다.
컬렉션은 무엇일까?
컬렉션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일단 무엇이 컬렉션이 아닌 지 알아야 한다.
하나의 변수에 하나의 값만 할당되는 것은 컬렉션이 아니다.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넣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컬렉션이다.
그런 의미에서 리스트는 컬렉션이다.
리스트(List)
- 리스트는 컬렉션의 한 종류이다.
- 리스트의 각 항목들은 '[ ]'로 둘러쌓이게 된다.
- 리스트 내 항목들의 구분은 콤마(,)로 구분한다.
- 리스트 내에 또 다른 리스트도 내포할 수 있다.
- 비어있는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 리스트의 항목들에 대해 인덱스 값으로 접근할 수 있다.
- 리스트의 항목들은 바뀔 수 있다.
friends = ['Joseph', 'Glenn', 'Sally']
carryon = ['socks', 'shirt', 'perfume']
colors = ['red', ['yellow','blue'], 'black']
emptyList = []
print(colors[0])
# red라고 출력됨
lotto = [2, 14, 26, 41, 63]
print(lotto)
# [2, 14, 26, 41, 63]이 출력됨
lotto[2] = 28
print(lotto)
# [2, 14, 28, 41, 63]이 출력됨
len()
리스트에서도 len() 함수를 통해 해당 리스트가 몇개의 항목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문자열이랑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friends = ['Joseph', ' Glenn', 'Sally']
print(len(friends))
# 3으로 출력됨
range()
range() 함수는 인자로 전달되는 값에 따라서 숫자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반환하게 된다.
for i range(5):
print(i)
'했던것들 > PY4E(모두를 위한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과 리스트를 활용한 값 추출하기 (0) | 2022.05.28 |
---|---|
(파이썬) 리스트 활용 (몇가지 내장함수) (0) | 2022.05.28 |
(파이썬) open() 함수를 이용해 텍스트 파일 열기 (0) | 2022.05.28 |
(파이썬) open() 함수, 개행 문자 (0) | 2022.05.28 |
(파이썬) 문자열 타입 내장 메소드 (0) | 2022.05.28 |
https://docs.python.org/3/tutorial/datastructures.html
5. Data Structures — Python 3.10.4 documentation
5. Data Structures This chapter describes some things you’ve learned about already in more detail, and adds some new things as well. 5.1. More on Lists The list data type has some more methods. Here are all of the methods of list objects: list.append(x)
docs.python.org
리스트는 자료구조이다.
자료구조는 컴퓨터 내에서 자료를 구조화하는 특별한 방식이다.
즉, 자료를 어떻게 보관하고 정리할 것인지를 정의한다.
컬렉션은 무엇일까?
컬렉션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일단 무엇이 컬렉션이 아닌 지 알아야 한다.
하나의 변수에 하나의 값만 할당되는 것은 컬렉션이 아니다.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넣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컬렉션이다.
그런 의미에서 리스트는 컬렉션이다.
리스트(List)
- 리스트는 컬렉션의 한 종류이다.
- 리스트의 각 항목들은 '[ ]'로 둘러쌓이게 된다.
- 리스트 내 항목들의 구분은 콤마(,)로 구분한다.
- 리스트 내에 또 다른 리스트도 내포할 수 있다.
- 비어있는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 리스트의 항목들에 대해 인덱스 값으로 접근할 수 있다.
- 리스트의 항목들은 바뀔 수 있다.
friends = ['Joseph', 'Glenn', 'Sally']
carryon = ['socks', 'shirt', 'perfume']
colors = ['red', ['yellow','blue'], 'black']
emptyList = []
print(colors[0])
# red라고 출력됨
lotto = [2, 14, 26, 41, 63]
print(lotto)
# [2, 14, 26, 41, 63]이 출력됨
lotto[2] = 28
print(lotto)
# [2, 14, 28, 41, 63]이 출력됨
len()
리스트에서도 len() 함수를 통해 해당 리스트가 몇개의 항목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문자열이랑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friends = ['Joseph', ' Glenn', 'Sally']
print(len(friends))
# 3으로 출력됨
range()
range() 함수는 인자로 전달되는 값에 따라서 숫자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반환하게 된다.
for i range(5):
print(i)
'했던것들 > PY4E(모두를 위한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과 리스트를 활용한 값 추출하기 (0) | 2022.05.28 |
---|---|
(파이썬) 리스트 활용 (몇가지 내장함수) (0) | 2022.05.28 |
(파이썬) open() 함수를 이용해 텍스트 파일 열기 (0) | 2022.05.28 |
(파이썬) open() 함수, 개행 문자 (0) | 2022.05.28 |
(파이썬) 문자열 타입 내장 메소드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