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 포워드 머지는
- main 브랜치에서 뻗어나온 브랜치에만 commit이 있고
- main 브랜치에는 commit이 없을 경우에
- merge를 하면
- 뻗어나온 브랜치가 main 브랜치가 되는 동작 방식이다.
아래는 main에서 뻗어나온 브랜치만 commit이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main에 머지할 경우
fast-forward 동작 방식으로 merge된다.

즉, main 브랜치가 fast-foward가 된 것이다.

(말만 어렵지, 굉장히 직관적이다.)
'했던것들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rebase (리베이스) 실습 (0) | 2022.12.02 |
---|---|
git branch 목록 확인 및 브랜치 삭제 (0) | 2022.12.02 |
git merge 동작 방식 (3-way merge) (0) | 2022.12.01 |
git branch/merge 명령어 및 연습 (0) | 2022.12.01 |
git 명령어 (init, add, commit, restore, log) (0) | 2022.12.01 |
패스트 포워드 머지는
- main 브랜치에서 뻗어나온 브랜치에만 commit이 있고
- main 브랜치에는 commit이 없을 경우에
- merge를 하면
- 뻗어나온 브랜치가 main 브랜치가 되는 동작 방식이다.
아래는 main에서 뻗어나온 브랜치만 commit이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main에 머지할 경우
fast-forward 동작 방식으로 merge된다.

즉, main 브랜치가 fast-foward가 된 것이다.

(말만 어렵지, 굉장히 직관적이다.)
'했던것들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rebase (리베이스) 실습 (0) | 2022.12.02 |
---|---|
git branch 목록 확인 및 브랜치 삭제 (0) | 2022.12.02 |
git merge 동작 방식 (3-way merge) (0) | 2022.12.01 |
git branch/merge 명령어 및 연습 (0) | 2022.12.01 |
git 명령어 (init, add, commit, restore, log)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