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는 연산을 위한 연산자가 몇가지 존재하고
수학과 같이 순서가 있다. 이를 탐구해보자.
또한 파이썬에는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이 존재한다.
str(문자열), int(정수), float(실수, 부동 소수점 수) 타입에 대해 공부해보고
그 타입을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연산자(Operator)
컴퓨터 키보드에 있는 수학 기호들은 좀 부족하다.
그래서 우리는 제한적인 몇가지의 수리 연산자들만 사용할 수 있다.
산술연산자(Arithmetic Operators)
연산자 (Operator) |
뜻 | 예제 |
+ | add / 더하기 | x + y |
- | subtrack / 빼기 | x - y |
* | multiply / 곱하기 | x * y |
/ | division / 나누기 (파이썬에서는 float(실수 영역) 반환) |
x / y |
% | modulus / 나머지 연산자 (몫이 아닌 나머지를 반환!) |
x % y |
// | Floor division / 나누기(몫) (몫만 반환!) |
x // y |
** | Exponent (거듭제곱) (왼쪽을 오른쪽만큼 곱한다.) |
x ** y (x to the power y) |
연산자의 순서
괄호 -> 거듭제곱 -> 곱셈,나눗셈 -> 덧셈,뺄셈 -> 왼쪽에서 오른쪽
그냥 깊게 생각하지 말고
수학이랑 똑같다고 생각하자.
괄호부터 풀고, 곱셈 나눗셈 하고 덧셈 뺄셈 한다.
다만 여기에는 순서가 있는데 항상 왼쪽부터 오른쪽의 순서로 움직인다.
'했던것들 > PY4E(모두를 위한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elif, 다중 분기(Multi-way Decision) (0) | 2022.05.27 |
---|---|
(파이썬) if, else, 들여쓰기 (1) | 2022.05.27 |
(파이썬) 타입(Type) (0) | 2022.05.27 |
(파이썬) 상수, 변수, 할당문 (0) | 2022.05.27 |
(파이썬) 예약어, 프로그램 흐름 제어(순차문, 조건문, 반복문) (1) | 2022.05.27 |